1. 다음 그림처럼 대시보드에 접속합니다.

 

2. 관리자 페이지 로그인

3. 관리자 페이지를 구경하시고 이번에는 demo 사용자로 로그인 합니다.

인스턴스는 대시보드의 인스턴스 메뉴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4. 인스턴스 팝업이 나오면 아래 그림처럼 입력 후 아래 실행 버튼을 누르면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

 

5. 인스턴스 생성 완료

 

 

 

 

 

 

 

 

 

 

 

 

 

 

 

 

 

 

1. 설치한 우분투 14.04.4 Server LTS 시스템 update & git & vim 을 차례로 설치 합니다.

2. github 에서 openstack kilo 버전을 다운로드

3. stackrc 파일 수정

 수정전

 수정후

2. ./stack.sh ( 설치 )

아래 그림처럼 몇번의 비밀번호 설정 화면이 나온다. (되도록이면 동일하게 ㅋ)

여기까지 입력 후 기다리면 된다. 시스템에 따라 약간의 오차는 있겠지만 1시간 이상 기다려야 한다.

참고로 난 1시간 15분 정도 걸렸다. ;;

기다림의 시간이 끝나면 다음 그림 처럼 IP 및 url 정보가 뜬다. 

3. 대시보드 접속

 



SSH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해 우분투 가상 서버에 접속해 보도록 합니다.

VirtualBox 에뮬레이터를 이용해도 상관없지만 불편한게 많아 평소 자주 사용하는 SSH Client 프로그램을 이용해 우분투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 접속하기 전에 서버 IP 정보를 확인합니다.
 

2. 평소에 사용하는 SSH Client 프로그램을 실행 합니다. ( 여기서는 Xshell 사용 )
Xshell 화면 상단의 새로 만들기를 클릭 합니다.
 

3. 새 세션 등록 정보 창이 열리면 좌측 범주 트리에서 연결 항목의 이름과 접속할 호스트 IP를 입력합니다.

사용자 인증을 클릭하여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 합니다.

4. 등록된 세션 정보를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 합니다.

5. SSH 보안 경고 창이 열리면 수락 및 저장을 클릭합니다.

6. 우분투 서버 접속을 확인 합니다.

7. 우분투 서버를 최초 설치시 root 계정이 비활성화 상태를 활성화 상태 처리.

    sudo passwd root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활성화 상태가 됩니다.
sudo su 명령어 입력하여 root 계정 활성화 확인

 

+ Recent posts